안전문화운동이란?
안전문화운동
안전문화의 개념
- 안전문화란 일반적으로 국민생활 전반에 걸쳐 안전에 관한 태도와 관행ㆍ의식이 체질화되어 가치관으로 정착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 우리나라는 고도의 압축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95년도에 발생한 삼풍 백화점 붕괴와 같은 일련의 대형사고를 겪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안전에 대한 높아진 국민들의 관심과 더불어 정부차원의 안전문화운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 우리사회의 안전의식 내지 안전에 대한 가치관의 미성숙이 대형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그에 대한 처방으로 나타난 것이 안전문화 운동입니다.
안전문화운동
- 국민재난안전포탈에서 자세히보기
안전문화의 필요성
-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부터 경제개발 정책을 추진하여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습니다.
- 그러나 성장우선주의 정책과정에서 안전비용은 무시되기 일쑤였다.
즉, 눈앞의 성과에만 급급한 나머지 안전은 뒷전으로 밀리고 “빨리빨리”란 말이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말처럼 되어버렸을 정도로 우리국민들 사이에는 조급증이 널리 유포되었습니다. - 그 결과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의 붕괴, 경기 화성 씨랜드ㆍ인천 호프집 화재 사고 등과 같은 후진국형 안전사고가 계속 발생하는 등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지불
되었습니다.
오늘날 고도 산업사회에 진입하면서 각종시설이 고층화, 지하화, 대형화되고 있으며, 각종 편의기기의 사용증가 요인 또한 생활주변과 산업현장 등에서 안전사고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안전문화의 방향
- 안전문화운동의 기본목표는 안전을 삶의 중심가치로 삼는 선진사회를 정착하는데 있습니다.
- 국민은 안전을 먼저 생각하고 실천하며, 사회는 안전에 대한 분위기 조성과 실천에 책임을 느끼고, 정부는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시키는데 앞장서 나갈 때 우리가 바라는 안전문화의 목표는 달성될 수 있습니다. 국민 각자는 생활주변의 사고 발생 취약점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지고, 사고 유발 요인을 발견하거나 인지하였을 경우에는, 즉시 행정관청(1588-3650, 119)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고위험요인을 발견하였을 경우 시급한 경우에는 즉시 현장에서 필요한 안전조치를 한 다음 발견일시, 위치, 위험요인 등을 신고하고, 신고 이후에도 안전조치 여부에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문화의 심벌
로고 | 의미 |
---|---|
![]() |
|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안전재난과안전관리팀(☎ 054-650-6157)입니다.
최종수정일2019.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