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우망리
마을의 형국이 서우망월형(犀牛望月形)의 明堂이므로 略해서 牛望이라고 도 하다가 가히 근심을 잊고 살만한 마을"이라해서 憂忘으로 썼다고 함.
청곡리
별곡의 일부와 우곡 및 청곡과 구산을 합하여 청곡리를 구성 함.
흔효리
흔전 : 마을 정착당시 밭이 기름지고 곡식이 잘 되어 흔전이라 불리워짐.
효동 : 권효자에서 따 온 것으로 봄.
흔전의 흔 字와 효동의 효 字가 합쳐서 흔효라 명함.
흥천리
산림 : 임란전에 권처사라는 이가 한양에서 벼슬을 버리고 이곳 숲이 우 거진 곳에 묻혀 살았으므로 산림처사라 했으며 이 산림처사가 사는 마을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산림이라고 전하여 진다고 함.
신흥 : 새롭게 興盛 해 지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함.
청운리
굴미 뒷산인 청산의 청자와 알운산의 운자를 따서 청운리라 불리워 짐
하풍리
유래는 없으나 낙동강이 마을의 반쯤을 감고 돌고 沼가 두곳에 있어 글자 그대로 물 이 풍부하다는 뜻인 듯함.
삼강리
洛東江, 錦川(省火川), 乃城川이 합치는 곳이라 해서 삼강이 됨.
오지리
- 마을에 오동나무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라 함.
풍신리
직신 : 산이 비단을 짜는 베틀형국의 옥녀가 織錦한다는 형의 織錦山이 이고 이 마을터가 그 베틀의 북과 같이 생겼다고 하여 織申이라 하다가 지금은 直申으로 씀.
풍신1,2구로 분동당시 "高山水豊富住民人心柔德"에서 豊 字와 德 字를 따서 이름을 지었다함.
풍덕의 풍 字와 직신의 직 字를 합쳐 풍신으로 명함.
괴당리
삼괴 : 서울로 가는길, 여우리 재를 거처 대구로 가는길, 다인 津頭를 거쳐 예천으로 가는길, 이 세길이 있는 마을이라 해서 삼거리라 하다가 괴목 1그루가 있어 삼괴라 불리워짐.
당촌 : 마을의 역사는 정확치 않고 다만 대구산 支嶺 중턱에 1906년까지 당집이 있었는데 이로 인하여 당촌으로 불리어 짐.
삼괴의 괴 字와 당촌의 당 字를 합쳐서 괴당으로 명함.
고산리
수산 : 앞들에 자연적으로 물이 솟아 나는곳(1917년 이곳에 풍천지를 만들었음) 이 많아 마을 이름을 물산, 무산으로 부르다 가 한문으로 水山으로 되었다고 함.
고천 : 다른 마을보다 특히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高天 또는 皐天으로 쓰다가 나중에 높은 산중턱에 있고 마을 앞이 깊은 골의 내가 흐르므로 高川으로 불리었다고 함.
고천의 고 字와 수산의 산 字를 합쳐서 고산으로 명.
공덕리
동림 : 공처보다 늦게 생겼으므로 공처에서 볼 때 동쪽에 숲이 우거졌으 므로 그곳을 동림이라 한 것이 마을 이름이 되었다 함. 또한 일설에는 마을 뒷산이 소가 누운 형국 이므로 동산에 숲이 있어야 소가 살찌고 번창해진다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동림이라고했다함.
봉림 : 비봉산의 서쪽 낮은 골짜기의 숲속에 鳳凰이 깃들고 있던곳에 터 잡은 마을이 라하여 봉림이라고 불리워 졌다고 함.
낙상리
상주 낙동의 상류쪽에 큰장이 서는 곳(세밀장)이라 해서 당시 소금배가 올라와서 물물교환을 많이 했기 때문에 낙동과 더불어 중요한 위치이므로 낙상이라고 명명했다 함.
와룡리
동네의 앞산이 마치 용이 누운形局의 와룡산에서 유래한 것 으로 보아짐.
효갈리
갈밭 : 이 마을에 정착할 때 칡넝쿨을 걷어내고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 여 갈밭이라고불러어짐
효제 : 효자동이라고도 하고 옛날에 임효자가 살았다고 하여 생긴 이름
효제의 효 字와 갈밭의 갈 字를 합쳐서 효갈이라 함.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풍양면총무팀(☎ 054-650-6612)입니다.
최종수정일2018.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