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이란

친환경농업이란?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농업의 생산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농업 형태로서, 농업생산의 경제성 확보, 환경보전 및 농산물의 안전성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 『친환경농업은 단순히 자연농업 또는 유기농업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화학물질인 비료나 농약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병해충종합관리(IPM), 작물양분종합관리(INM), 천적과 생물학적 기술의 통합이용 등 최첨단 농업기술을 이용하고, 윤작·간작·두과 작물재배 등 흙의 생명력을 배양하는 동시에 농업환경을 보전하는 모든 형태의 농업을 포함하는 개념임』

왜 친환경 농업인가
친환경농업은 21세기 경쟁력 있는 사업 1.흙과 물, 생태계를 살려내어 건강한 농업환경을 유지 보전, 2.안전한 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선진국 유기농산물 무역증가에 대처, 3.지역의 관광자원으로 맑은물과 자연이 살아숨쉬는 쾌적한 전원풍경 제공, 4.사료녹비작물 재배등 순환농법 실천으로 유기축산물 생산확대와 자원의 재활용을 실천, 5.농산물 생산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직거래를 통한 도시와 농촌의 유대 강화
친환경농산물이란?
  • 환경을 보전하고 소비자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및 사료첨가체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적정수준 이하로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축산물 포함)
인증구분정의인증표시
유기농산물전환기간(다년생 작물 3년, 그 외 작물 2년) 이상을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포장에서 재배
무농약농산물유기합성농약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
유기축산물유기농산물의 재배·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유기가공식품유기농축산물 원료로 하여 유기적 순수성을 유지하는 가공과정 등을 거쳐 생산된 식품
* 무농약원료가공식품인증 신규 도입 예정
무농약원료가공식품무농약농산물을 원료로 하거나 유기식품과 무농약농산물을 혼합 생산한 식품
친환경농산물의 관리
  • 친환경농산물로 표시하고자 하는 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신고를 해야하며 신고한 농가에 대해서는 분기별 2회 이상 생산과정을 조사하고, 시중 유통품에 대해서는 수시로 조사하여 품질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이용은 왜 좋을까?
  • 농약과 중금속, 환경호르몬 등으로부터 안전합니다.
  • 농산물 고유의 향기와 맛 그리고 영양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 야채와 과일이 오랫동안 싱싱하게 유지되어 손실이 적습니다.
  • 농업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외관을 중시하는 농산물 구입습관
  • 도시소비자들이 농산물을 구입할 때 크고 색깔좋은 농산물을 선호하므로 농민들도 화학비료와 농약을 많이 사용 하여 영양가치보다 외관이 좋은 농산물을 생산합니다.
  • 친환경농산물은 과일의 경우 크지 않고 과피에 병해충의 피해가 있는 것이 정상이므로 소비자는 이러한 농산물을 우선적으로 구입하면 친환경농업의 정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농업기술센터식량환경팀(☎ 054-650-6462)입니다.

최종수정일2021.06.30

농업기술정보

친환경농업이란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 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https://www.ycg.kr/open.content/farm/information/environment/eco/ 입니다.

이 QR Code는 현재 보시는 <친환경농업이란페이지>의 홈페이지URL 정보를 담고 있는 QR Code 입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