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유래
본래 예천군 지역으로서 보문사의 이름을 따서 보문면이라 하여 마촌, 옥천, 어등, 지과, 기동, 독죽, 진양, 평고, 문래, 우평, 산성, 신운, 오류, 수양, 쌍계, 점리, 작평, 읍곡, 문암, 오적의 20개 동을 관할하다가, 1914년 4월 1일 군면 폐합에 따라 승도면의 간곡, 이방, 미호, 본동, 동막, 편월, 신탄, 벌곡, 고평의 9개 동리와 동읍면의 통명동 일부와 감천면의 장산동 일부와 안동군 북후면 석탑동을 병합하여 마촌, 옥천, 독양, 기곡, 우래, 산성, 작곡, 오암, 간방, 미호, 승본, 신월, 고평의 15개 동으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84년에 고평동을 예천읍으로, 1986년에 마촌동을 감천면으로 이관시켜 13개 동이 되고 동쪽은 안동시 북후면, 남쪽은 호명면과 안동시 풍산읍, 서쪽은 예천읍, 북쪽은 감천면과 영주시 장수면, 문수면에 닿고 있음
간방동(澗芳洞)
- 본래 예천군 승도면의 지역인데 간곡, 이방동과 보문면의 마촌동 일부와 감천면의 덕율동 일부를 병합하여 간곡과 이방의 이름을 따서 간방동이 라고 함
- 간 실 : 간방동에서 으뜸 되는 마을.
- 간초정 : 간실 옆에 있는 정자
- 고은정 : 간실 동북쪽에 있는 정자. 박고은의 자손들이 조상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으며 못을 파서 큰 바위를 천연적 섬으로 만들고 그 바위 위에 유모비를 세웠음
- 골 마 : 간실 북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 꼭두바우 : 꼭두바우가 있는 마을
- 덕거리 : 문고개 동남쪽에 있는 마을
- 문고개 : 문고개가 있는 마을
- 일 방 : 문고개 남동쪽에 있는 마을. 이처럼 생긴 바위가 있음
- 웃일방 : 일방 위쪽에 있는 마을
- 탑 동 : 간실 동남쪽에 있는 마을
기곡동(基谷洞)
- 본래 예천군 보문면의 지역으로서, 옛 터가 있으므로 텃골, 또는 기곡, 기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간은, 대율곡을 합하여 기곡동이라 하였다.
- 간 은 : 한밤실 서쪽에 있는 마을, 임씨가 살면서, 수풀은 냇가에서 잘된다는 뜻으로 마을 이름을 지었다.
- 느룸실 : 잔늠 동쪽에 있는 마을, 느릅나무가 많다.
- 대밭골 : 간은 동남쪽에 있는 마을. 대밭이 있었다.
- 뒷 골 : 간은 뒤에 있는 마을.
- 잔 늠 : 간은 동쪽에 있는 마을.
- 텃 골 : 기곡동
- 한밤실 : 기곡동에서 가장 큰 마을. 사방으로 높은 산이 둘려있다.
독양동(篤陽洞)
- 독죽동, 진양동, 평고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독죽과 진양의 이름을 따서 독양동이라 한다.
- 거먹골 : 평장개 동남쪽에 있는 마을.
- 계옹정 : 평장개에 있는 정자. 효종 때 진사 장지걸이 세웠다.
- 독 죽 : 막실 서쪽에 있는 마을. 소가 죽을 먹는 형국이라고 한다.
- 막 실 : 독양동에서 가장 큰 마을. 굴막이 있었다.
- 평장개 : 막실 서쪽에 있는 마을.
미호동(眉湖洞)
- 본래 승도면 지역으로서 내성천이 마을 앞을 둘러서 눈썹처럼 되었으므로 미흘 또는 미호라 하는데,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미호동이라 하여 보문면의 중심으로서 면사무소, 파출소, 우체국 등이 있다.
- 남하정 : 미호동 남쪽에 있는 정자. 김해 김씨가 세웠다.
- 동짝마 : 미흘 동쪽에 있는 마을.
- 별 묘 : 동짝마에 있는 사당. 별동 윤상의 신주를 모셨다. 윤상은 그 아버지가 늙도록 아들이 없으므로 옛 무덤에 정성을 다하여 제사를 지냈는데, 그 무덤 주인이 학 한 마리를 주는 꿈을 꾸고 윤상을 낳았는데, 어찌 자상하던지 예천통인으로 있을 때 틈틈이 관솔을 모아 두었다가 밤 늦도록 글을 읽고, 원이 캄캄한 밤중에 대야를 문 위에 놓고서 문을 닫으라 하였는데, 윤상이 그 대야를 손으로 옮겨 놓고 닫았으므로 원이 크게 칭찬하고 나라에 천거하여 벼슬에 예문 직제학에 올라서 명망을 세상에 떨쳤음.
- 청심대 : 미흘 동쪽등성이에 있는 정자. 직제학 윤상이 세웠는데, 뒤에는 산이 수려하고 앞에는 내성천의 맑은 물이 흘러서, 이 정자에 오르면 마음이 맑아지고 정신이 쾌락하여진다고 한다.
- 표절사 : 서짝마에 있는 사당. 김저, 김전, 김두 등을 배향하였다.
산성동(山城洞)
- 본래 보문면의 지역으로서, 산성이 있으므로 산성동이라 하였다.
- 골 마 : 산성 북쪽골짜기에 있는 마을
- 느리티 : 동쪽에 있는 고개. 학가산 남쪽줄기가 되는데, 안동군 서후면 자품리로 넘어간다.
- 느리티2 : 느리티 밑에 있는 마을
수계동(首溪洞)
- 본래 보문면의 지역인데, 수양동, 쌍계동, 점리동을 병합하여, 수양과 쌍계의 이름을 따서 수계동이라 한다.
- 가라골 : 점마 북쪽에 있는 마을.
- 멀 량 : 수계동에서 가장 큰 마을. 수양산 밑이다. 보문 분교가 있다.
- 쌍 계 : 수양 남동쪽에 있는 마을, 두 내가 합하였다.
- 장숫골 : 가라골 북쪽에 있는 마을.
- 점마 : 쌍계 부근에 있는 마을. 옹기점이 있었다.
승본동(繩本洞)
- 본래 승도면 지역인데, 본동 일부와 동막동을 병합하여, 승도면과 본동의 이름을 따서 승본동이라 하였다.
- 동 막 : 노트기 북쪽에 있는 마을.
- 아릇노트기 : 노트기 아래쪽의 마을.
- 웃노트기 : 노트기 위쪽에 마을.
- 효자각 : 동막 앞에 있는 효자 심 재택의 정문.
신월동(新月洞)
- 본래 승도면의 지역인데, 편월동, 신탄동, 벌곡동을 병합하여, 신탄과 편월의 이름을 따서 신월동이라 하였다.
- 독정이 : 돌다리 서쪽에 있는 마을.
- 무근열 : 신월동에서 으뜸되는 마을. 앞에 내성천이 활처럼 휘어 흘러서 황무지의 여울이져 있으므로 무근열, 또는 진탄이라 하였는데, 마을 사람들이 이름이 좋지 않다 하여 새열, 또는 신탄, 신탄동으로 부르기도 한다.
- 버 실 : 무근열 북서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버리처럼 생겼다.
- 새 마 : 무근열 북쪽에 새로 된 마을.
- 편 달 : 무근열 남서쪽에 있는 마을.
- 읍호정 : 무근열 서쪽에 있는 정자. 참봉 정시형이 세웠다. 앞에 내성천 맑은 물이 흐르고 뒤에 수려한 산이 솟아 있어서,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오신동(五信洞)
- 본래 예천군 보문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운동, 우류동, 문래동 일부를 병합하여, 오류와 신운의 이름을 따서 오신동이라고 한다
- 시느리 : 오신동에서 으뜸 되는 마을.
- 오리골 : 시느리 남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 앞에 버드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오암동(烏岩洞)
- 본래 보문면의 지역인데, 오칭동과 문암동을 병합하여 오암동이라 하였다.
- 문바우 : 오암동에서 으뜸되는 마을. 앞에 문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 오 치 : 오티 고개 밑에 있는 마을.
- 웃문바우 : 문바우 위쪽에 있는 마을.
- 율호정 : 청심대 서남쪽에 있는 정자. 김해 김씨가 세웠다.
- 청심대 : 소바우 산 너머, 곧 미흘 앞산에 있는 바위. 20여명이 앉아서 놀만한데, 아래에 내성천의 맑은 물이 흐른다.
옥천동(玉泉洞)
- 본래 보문면의 지역으로서 옥계천 옆이 되므로 옥천이라 하였는데 어등동, 지과동, 기동의 각 일부와 감천면의 장산동 일부를 병합하여 옥천동이 라 한다.
- 어 등 : 지가실 북쪽에 있는 마을
- 지가실 : 옥천동에서 으뜸 되는 마을.
- 학교마 : 옥천 북쪽에 있는 마을. 옥천분교가 있다.
우래동(友來洞)
- 본래 보문면 지역인데, 문래동, 우평동과 안동군 북후면 일부를 병합하여, 문래와 우평의 이름을 따서 우래동이라 한다.
- 가거동 : 문래실 동쪽에 있는 마을. 본래 안동군. 1914년에 보문면에 편입되었으며, 퇴계 이황 이곳을 지나가다 산천이 아름다워서 가히 살만한 곳이라 하였다고 한다.
- 물레실 : 우래동에서 으뜸 되는 마을.
작곡동(鵲谷洞)
- 마을이 언덕지대에 자리잡고 있으며 서쪽으로 내성천이 흐른다. 행정구역 개편으로 여러 리가 병합되었는데 그 중 작평리와 읍곡리의 이름을 따서 작곡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건너골, 까칫들, 읍실, 웃솔티, 아래솔티가 있다. 건너골은 마을이 작곡리 건너에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까칫들은 마을 지형이 까치집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읍실은 작곡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웃솔티는 솔티 위에, 아랫솔티는 솔티 아래에 자리잡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보문면행정복지센터(☎ 054-650-6606)입니다.
최종수정일20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