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학술자료
순번 | 분류 | 제목 |
---|---|---|
261 | 논문 | 이보형, 「예천통명 농요」, 『문화예술』 107,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6. |
262 | 논문 | 이세동, 「玉溪 潘佑亨과 <寒氷戒> 고찰」, 『영남학』 25,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
263 | 논문 | 이수동, 이찬, 김동욱, 김지석, 「예천 금당실 송림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제27권 제6호, 한국 환경생태학회, 2013. |
264 | 논문 | 이재삼, 「西河 林椿의 詩世界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265 | 논문 | 이재완, 「경북 예천 지역 태실에 관한 일고찰」, 『고궁문화』 6호, 국립고궁박물관, 2013. |
266 | 논문 | 이준희, 「예천지방 통명농요와 공청농요의 연구 : 모심기소리·논매기소리·타작소리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267 | 논문 | 이천용, 「예천 초간정 원림」, 『숲과 문화』 제23권 제5호, 숲과문화연구회, 2014. |
268 | 논문 | 李泰鎭, 「醴泉 開心寺 石塔記의 分析 : 高麗前期 香徒의 一例」, 『歷史學報=The Korean historical review』 53-54, 歷史學會, 1972. |
269 | 논문 | 李翰邦, 「農村地域 通婚圈의 構造와 變化過程: 慶北 醴泉郡 虎鳴面 白松理의 事例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석사논문, 1987. |
270 | 논문 | 이호열, 「慶北 醴泉 上金谷洞의 定住環境 調査硏究 : 마을의 성장과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建築科學技術』 2, 密陽産業大學校 建築科學技術硏究所, 1999. |
271 | 논문 | 임노직, 「퇴계학 자료총서 해제 (제5차분) : 박손경 저, 『남야집』」, 『퇴계학』 14,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4. |
272 | 논문 | 임병학, 「서하(西河) 임춘(林椿)의 철학사상」, 『인문과학』 94,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
273 | 논문 | 임연석, 「임춘(林椿)의 유학사상 이해와 출처은현관(出處隱顯觀)의 특징」, 『인문연구』 72,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
274 | 논문 | 임학수, 「西河 林椿 硏究」,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275 | 논문 | 장원섭, 「의성·예천·상주지역어의 움라우트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1. |
276 | 논문 | 전상준, 「예천 풍양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논문, 1999. |
277 | 논문 | 전성원, 「예천 동본동 석조여래입상의 훼손도 진단과 수리복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
278 | 논문 | 전재영, 「다문화가정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 경북 예천군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경안신학대학원, 석사논문, 2011. |
279 | 논문 | 정 민 외 2명, 「예천 남본리 198-2 예천 농협주유소 신축부지내」, 『醴泉 南本里遺蹟』 1, 영남문화재연구원, 2012. |
280 | 논문 | 정긍식(鄭肯植), 「16세기 재산산속의 한 실례 : 1579년 권지 처 정씨 허여문기의 분석」, 『(서울대학교)法學』 제47권 제4호 통권 제141호, 서울大學校 法學硏究所, 2006. |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문화관광과예천박물관팀(☎ 054-650-8316)입니다.
최종수정일201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