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이곳은 군민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게시할 수 있는 공간으로 게재된 내용에 대한 답변은 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건전한 통신문화 정착과 군민의식함양을 위하여 실명으로 운영되며특정인 비방, 광고, 음란물, 유사 또는 반복 게시물 등은 사전 통보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게시판의 건전한 운영을 위하여 "예천군 인터넷 시스템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6조" 에 해당하는 글은 사전예고 없이 삭제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에 의하여 처벌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글 등록시 제목이나 게시내용, 첨부파일등에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통장계좌번호 등)는 차단되오니 기재를 금합니다.
예천의 자랑(2823) : 정호관(2)-정호서(1)(附 예천방문 825)
---
정호관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辨誣錄의 板本을 우선 毁破하고 趙湜 등의 죄를 다스리겠다고 趙九輅 등의 상소에 대해 내린 비답/ 辨誣錄, 趙九輅|丁好寬|鄭造|尹|趙湜|趙湜(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先祖를 誣罔한 辨誣錄을 불태워서 斥邪衛正의 계기로 삼을 것을 청하는 李復仁 등의 상소/ 李德馨|李命佐|李恒福|丁時翰|金止男|丁好寬|鄭造|李|丁時翰|丁彦璜|丁時翰|丁好寬|鄭蘊|鄭蘊|鄭造|尹|丁好寬|趙絅|鄭造|尹|丁好寬|金止男|鄭蘊|趙絅|丁時翰|丁彦璜|丁時翰|李|趙湜|李|趙湜|李|李|李德馨|李恒福...(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간행물] 병오년에 다시 왜와 통화(通和)하다/ 유영경|김계신(金繼信)|윤승훈(尹承勳)|귤지정(橘智正)|이정귀(李廷龜)|여우길(呂祐吉)|경섬(慶暹)|정호관(丁好寬)|윤안성(尹安性)|우길|우길|우길|덕천(德川)|수길|평씨(平氏)|최유원(崔有源)|수길|의홍(義弘).../ 이긍익(李肯翊)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0)
정호관 [專門資料] : [간행물] 11일(임인)/ 정신|충필|평의지(平義智)|현소|승태|원풍|가강(家康)|원수충(源秀忠)|정순|가강|승태|학교|가강|수충|가강|원수충(源秀忠)|여우길(呂祐吉)|경섬(慶暹)|정호관(丁好寬)|원수충, 강호|마도(馬島)|마도|마도(馬島).../ 경섬(慶暹)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간행물] 11일(계사)/ 주인(主忍)|선조|덕천가강(德川家康)|풍신수길(臣秀吉)|평수뢰(平秀賴)|수길|수길|여우길(呂祐吉)|경섬(慶暹)|정호관(丁好寬)|영조|가중(家重)|홍계희(洪啓禧)|남태기(南泰耆)|조명채(趙命采)|강길(綱吉)|가선.../ 조엄(趙)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간행물] 회답 겸 쇄환사 동사 원역록(回答兼刷還使同員役錄)/ 金九疇)|김덕린(金德隣)|경시량(慶時亮)|정겸(鄭謙)|한덕남(韓德男)|김사위(金士偉)|한사일(韓士逸)|정호관(丁好寬)|희율(希栗)|선조|선조|선조|일취(一翠)|매응춘(梅應春)|강득서(姜得瑞)|임업(林嶪)|김효순.../ 경섬(慶暹)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선조 李德馨이 丁時翰의 책자에서 誣辱을 당하였다고 전후 사실을 토로하고 邪說을 막아달라고 청하는 李復仁 등의 상소/ 永昌大君|李德馨|李恒福|趙絅|趙絅|李德馨|李恒福|李元翼|李元翼|永昌大君|永昌大君|李元翼|李恒福|李恒福|李元翼|趙絅|李元翼|永昌大君|李恒福|李恒福|李|趙湜|李|趙湜|李|丁思愼|丁思愼|丁好寬|李存道|金泓|丁(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辨誣錄에서 趙絅이 비난받은 일에 대해 억울함을 진달하고 處分을 기다린다는 趙九輅 등의 상소/ 辨誣錄, 趙九輅|光海君|丁好寬|趙絅(daum 2011)
정호관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書吏 등을 보내 辨誣錄을 간행한 趙湜과 跋文을 지은 李을 拿來할 것을 청하는 義禁府의 계/ 晉州, 許玧|趙九輅|丁好寬|鄭造|尹|趙湜|趙湜|李玄逸|趙湜|李|李惟樟|趙湜|李玄逸|李惟樟|趙湜|李(daum 2011)
정호관 : 우담 정시한 愚潭先生文集/ 3주전, 2010년 12월 15일 (수)/ ...년(숙종 33) 자 君翊 호 愚潭, 龜潭, 法泉 본관 羅州 특기사항 李玄逸, 李惟樟, 權斗寅 등과 교유 가계도 丁好寬 司成 丁?璜 觀察使 橫城趙氏 趙正立의 女 丁時翰 晉州柳氏 柳穎의 女 丁道元 進士 沈轍의 女 丁道謙 正字.../ cafe.daum.net/k2gim/ 굴어당의 漢詩(唐詩.宋詩.漢文)(daum 2011)
정호관 : 선생 46세 ~ 54세/ 작년, 2010년 7월 17일/ 빼앗아 가며 말하기를, “후일에 화를 입을 것이다.” 하자, 정항이 곧 병들어 한스러워하며 죽었다. 정호관(丁好寬)이 또 말하기를, “나는 천고의 죄인됨을 면하지 못하겠구나.” 하고, 음식을 먹지 않고 술에 취하여 죽었다.../ cafe.daum.net/ 초계정씨의 방 해 제 =(daum 2011)
정호관 : 저자의 전기적 고찰 [ 3 ]/ 작년, 2010년 7월 17일/ ...벨 것을 요청하고, 또 폐모[廢母]. 살제[殺 弟]의 논의를 맨 먼저 낸 정조[鄭造], 윤인[尹?], 정호관[丁好寬]을 먼 변방으로 추방 할것을 요청하였다. 당시 조정의 관리 들은 대부분 대북파의 공포 정치에 신변의 위협을.../ cafe.daum.net/ 초계정씨의 방(daum 2010)
정호관 : 나주丁氏族 연원 및 氏族史/ 작년, 2010년 3월 19일/ 충주(忠州)로, 19세 정도익(丁道益)의 대 이후로는 경기도 통진(通津)으로 세거지를 확대한 것 같다. 정호관(丁好寬)의 후손은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터를 잡은 것 같으며, 17세 정언황(丁彦璜)은 강원도 관찰사(觀察使)를.../ cafe.daum.net/ 우리 집은 563번지(丁 奎자淵자 할이버지 자손들의모임)(daum 2011)
정호관 : 조선왕조 500년/15. 광해군 (신봉승 실록대하소설)/ e-Book/ 신봉승 지음 | 금성출판사 | 2010.05.26/ 책본문 : 왜국에 통신사를 보내게 되었다. 여우길이 정사, 교리 경섬慶暹이 부사, 좌랑 정호관丁好寬이 서장관이었다. 이를 두고 조정에서 찬반양론이 비등한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선조와 유영경의.../ 562페이지(daum 2011)
정호관 : 조선통신사의 일본견문록/ e-Book/ 강재언 지음 | 한길사 | 2005.09.20/ 책본문 : 부사로 일본을 방문한 경섬의사행 기록이다. 정사는 여우길呂祐吉, 종사관은 정호관丁好寬이었고, 일행은 모두 504명이었다. 사절단의 정식 명칭은 ‘회답 겸 쇄환사’였다. 통신사 일행은.../ 81페이지(daum 2011)
정호관 : 아베일족/ e-Book/ 모리 오가이 지음 | 노재명 옮김 | 북스토리 | 2006.08.05/ 책본문 : ...吉), 통훈대부(通訓大夫) 경섬(慶暹), 동(同) 정호관(丁好寬) 등세 사람이다. 이들은 본국에서 세 개의 가마를만들어 타고 왔다. 여우길의 가마에는 조화(造花)를 든인형이 좌석.../ 90페이지(daum 2011)
정호관 : 제비 (제비여 제비여 언제 돌아오느냐)/ e-Book/ 제임스 미키 지음 | 송현아 옮김 | 밝은세상 | 2004.06.30/ 책본문 : ...걸렸다. 소안지로 들어간 자는 정사 여우길(呂祐吉), 부사 경진(慶), 종사관 정호관(丁好寬)의 세 통신사와 당상역관 둘 그리고 그들의 시종들이었다. 세 통신사를 돌봐주는 역할엔.../ 18페이지(daum 2011)
정호관 : 우담 정시한 愚潭先生文集/ 3주전, 2010년 12월 15일 (수)/ ...년(숙종 33) 자 君翊 호 愚潭 , 龜潭, 法泉 본관 羅州 특기사항 李玄逸, 李惟樟, 權斗寅 등과 교유 가계도 丁好寬 司成 丁?璜 觀察使 橫城趙氏 趙正立의 女 丁時翰 晉州柳氏 柳穎의 女 丁道元 進士 沈轍의 女 丁道謙 正字.../ blog.daum.net/k2gim/ 굴어당의 한시.당시.송시(daum 2011)
정호관 : 丁 氏族 연원/ 2년전, 2009년 5월 12일/ ...충주(忠州)로, 19세 정도익(丁道益)의 대 이후로는 경기도 통진(通津)으로 세거지를 확대한 것 같다. 정호관(丁好寬)의 후손은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터를 잡은 것 같으며, 17세 정언황(丁彦璜)은 강원도 관찰사 (觀察使)를.../ blog.naver.com/oakjs/ 내 안의 또 다른 나!(daum 2011)
정호관 : 나주정씨 역대 주요인물/ 2년전, 2009년 11월 30일/ ...壬辰倭亂)⇒ 선무공신원종훈일등(宣武功臣原從勳一等) 정윤복(丁胤福): 동 상정호공(丁好恭): 동 상정호관(丁好寬): 동 상정호선(丁好善): 이몽학(李夢鶴)의 난⇒ 청난공신원종훈일등(淸難功臣原從勳一等)정언규(丁彦珪.../ blog.daum.net/hbexpress/ 한백익스프레스(daum 2011)
정호관 : 일사기문(逸史記聞) 정인홍을 폄훼하는 기사/ 3년전, 2008년 2월 25일/ 국치를 씻었노라고 하였으나, 사람들은 다 그 실없음을 비웃었다. 여우길(呂祐吉)ㆍ경섬(慶暹)ㆍ정호관(丁好寬) 등이 회답사(回答使)가 되어 일본에 가게 되자, 참판 윤안성(尹安性)은 다음과 같은 시를 지어 전송하였다.../ blog.daum.net/truthonly/ 진리를 추구하는 만대산(daum 2011)
정호관 : 제가 나주 정(丁)씨에 해정(海貞)을 쓰는데요../ 2년전, 2009년 4월 7일/ 충주(忠州)로, 19세 정도익(丁道益)의 대 이후로는 경기도 통진(通津)으로 세거지를 확대한 것 같다. 정호관(丁好寬)의 후손은 경기도 용인(龍仁)에서 터를 잡은 것 같으며, 17세 정언황(丁彦璜)은 강원도 관찰사(觀察使)를.../ 답변수: 1 | 조회수: 1,036(daum 2011)
---
정호서(丁好恕) ; 용문면 성현리 복천(福泉) 사람, 자는 사초(士樵), 호는 남애(南崖), 본관은 나주, 이조 참의와 대사헌을 지낸 윤복(胤福)의 4자, 언원(彦瑗)의 아버지, 호공(好恭, 1565生, 字希溫, 進士, 文科)ㆍ호관(好寬)ㆍ호선(好善)의 동생, 호제(好悌, 1576生, 字士順, 進士)의 형이다. 1609년(광해군 1) 문과에 급제한 후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냈고, 정주 목사(定州牧使)를 지낼 때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적장(敵將)을 죽이는 공을 세워 황해도 병사(兵使)를 지냈다. 그 후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韓國人의 姓譜)
정호서 [專門資料] : [간행물] 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간행물] 別天老, 瑞伯, 士推, 子由諸生。申翼壽, 禹應祥, 丁好恕, 禹轍。/ 최립(崔)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東萊府使에 나이 많은 丁好恕를 差任하는 것은 온당치 못할 듯하다는 備邊司의 계/ 瀋, 尹得說|丁好恕|鄭譯(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尹暄과 丁好恕를 梟示할 것을 청하는 兩司의 합계/ 尹暄|丁好恕|尹暄(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병으로 오랫 동안 부임하지 못하는 泰安郡守 丁好恕를 改差하고 그 후임을 差出하여 속히 내려 보낼 것을 청하는 備邊司의 계/ 丁好恕|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丁好恕의 상소/ 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丁好恕의 상소/ 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재주가 없고 병도 들어서 削職을 청하며, 교대를 기다리지 않고 任所를 떠난 죄를 다스려주기를 청하는 丁好恕의 상소/ 竹山|中和|定州|黃州|西路|定州|浿江|箕城|坡州, 丁好恕|金起宗|金起宗|金搢|張晩(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尹暄과 丁好恕를 梟示할 것을 청하는 李 등의 계/ 平壤|黃州|海西|平壤, 李|嚴惺|尹煌|韓必遠|兪省曾|朴安悌|申達道|尹暄|丁好恕|尹暄(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간행물] 천로(天老)ㆍ서백(瑞伯)ㆍ사추(士推)ㆍ자유(子由) 등 제생(諸生)과 작별하며 신익수(申翼壽)ㆍ우응상(禹應祥)ㆍ정호서(丁好恕)ㆍ우철(禹轍)이다./ 제군 스스로 공부들을 잘 하는걸 / 諸生自能學/ 최립(崔)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韓興一 등이 入侍하여 인재 등용 문제에 대해 논의함/ 咸鏡|全南|黃海|咸鏡|海西|全南|全南|江都|燕尾亭|江都, 韓興一|金光煜|洪瑞鳳|李敏求|宣祖|尹國馨|李洸|金自點|丁好恕|李敏求|韓興一|尹暄|丁好恕|金慶徵|李敏求|丁好恕|敏求|金光煜|韓興一|李敏求|李敏求|尹昉...(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景義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朴|미결|李聃齡|李忠生|미결|李晫|李利忠|李儉忠|李得吉|李繼|李翼聖|李璧瞻|李藎胤|미결|李得吉|李特龍|李四男|李珀|李文|李元|李暻|李垠|李承慶|李世柱|李暎|嚴鼎耉|鄭世規|李必達|丁好恕|宋希進|尹天衢|嚴愰(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時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時白|韓汝稷|金靜厚|尹鳴殷|具宏|趙稷|柳稽|鄭益卿|李休|洪敏立|成後益|尹文擧|具宏|權|李|金振海|李庭|鄭時望|李應蓍|李時白|金成烈|尹大亨|梁應涵|睦行善|李志淵|韓以勖|李大圭|朴|南溟翼|韓|丁好恕|趙啓遠...(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 등의 살인에 연루되어 도망갔다가 다시 잡힌 芿叱金을 拿問하겠다는 義禁府의 계/ 李|丁好恕|丁彦珩|具宏|丁好恕|芿叱金(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姜碩期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姜碩期|韓汝|南以恭|李景奭|申悅道|金善英|琴是調|權|金大德|崔繼勳|林|李弘澤|申楫|李景奭|李顯英|崔尙崙|李袗|丁好恕|李民|李弘淵|車精坤|宋錫胤|沈東龜|朴宗阜|南|鄭楡(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埈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埈|尹煌|尹|金慶徵|金時言|丁好恕|金浚|鄭經世|全三達|金善行|沈|奇協|宋碩祚|李景義|許實(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時英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李時英|沈|韓後英|具鳳瑞|閔應騫|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崔衢의 削版, 李安直의 罷職 등을 청하는 司諫院의 계/ 義州, 林|鄭大容|崔衢|李|丁好恕|李安直|崔衢|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兩西의 民力을 보호하기 위해 사신 접대하는 靑布 값을 줄였다가 督府의 노여움을 샀으므로 待罪하는 尹義立의 상소/ 海西|關西|兩西|海西|兩西, 尹義立|鄭斗原|王萬才|丁好恕|王萬才(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鄭知和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閔|金愼行|洪重普|李大根|李慶億|成振翰|李象鼎|趙汝彬|文益晙|沈儒行|姜復善|미결|田民|金振聲|金汝老|崔克誠|蘇尙|徐顯一|李慶徵|任繡|李慶龍|鄭承明|鄭榮漢|李厚載|洪得一|丁好恕|李|李涵|李冕|金相潤|李天基(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後司 右哨官이 이끄는 1백 명을 내일 發送하고 俵衣次錢木 등을 兵曹에서 題給하게 하겠다는 訓鍊都監의 계/ 京, 丁好恕|安(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柳舜懋 등은 賊中에서 나올 때 이미 加資하였으므로 그후의 공로가 있더라도 거듭 施賞할 수 없다는 吏曹의 계/ 鞍峴|黃州|鞍峴, 趙翼|張暾|丁好恕|許銓|閔汝儉|柳舜懋|張暾|丁好恕|閔汝儉|許銓|宋|柳舜懋(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金尙容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金尙容|鄭經|丁好恕|李景夏(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閔汝儉에 대한 論賞을 판단해 달라는 吏曹의 계/ 金尙|李适|張暾|丁好恕|閔汝儉|許銓|宋|許銓|宋|柳舜懋|閔汝儉(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간행물] 김직재(金直哉)의 옥사 관중 잡록에는 신해년 가을 조에 들었는데 일월록에서 그대로 하였음은 그릇된 것이다/ |호민|이호민|신율|호민|호민|유선(柳)|유제(柳悌)|박동량(朴東亮)|김직재|윤안성(尹安性)|정경세(鄭經世)|정호서(丁好恕)|정호선(丁好善)|정호제(丁好悌)|최유해(崔有海)|김태좌(金台佐)|전벽(田闢)|박동량|이첨.../ 이긍익(李肯翊)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간행물] 심하(深河)의 전쟁 기미년[광해군 11년 (1619)]ㆍ붙임 김응하(金應河). 사신을 보내어 변무(辨誣)하다. 오랑캐가 요동에 웅거하다. 모문룡(毛文龍)이 가도(島)에 들어오다.]/ 汪可受)|김태석(金苔石)|백양고(白羊古)|이항복(李恒福)|강홍립(姜弘立)|김경서(金景瑞)|응서(應瑞)|정호서(丁好恕)|이민환(李民)|이정남(李挺男)|정응정(鄭應井)|허균|정준(鄭遵)|남이웅(南以雄)|박엽(朴燁).../ 이긍익(李肯翊) | 한국고전번역원(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慶舜壽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慶舜壽|宋|崔間浩|丁好恕|權|李稠(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韓興一 등이 入侍하여 인재 등용 문제와 李敏求 敍用에 대해 논의함/ 미결|周勃|漢高祖|周勃|洪處大|漢高祖|韓興一|韓興一|李|呂爾徵|金光煜|呂爾徵|洪瑞鳳|金光煜|李敏求|宣祖|尹國馨|李洸|丁好恕|金自點|韓興一|李敏求|李敏求|尹昉|李敏求|尹昉|金慶徵|李敏求|金慶徵|李敏求|金光煜(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李敏求의 敍用문제에 대한 大臣들의 의견을 보고하는 吏曹의 계/ 江都, 李行進|金光煜|李敏求|趙翼議|李敏求|尹國馨|李洸|金自點|丁好恕|李敏求|李敬輿|趙翼議(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安州牧使 등에게 褒賞할 半熟馬는 身彌島에 馬를 옮기는 편에 내려주는 것이 좋겠다는 司僕寺의 계/ 宣川身彌島, 李植|成俊耉|卞三進|李時英|丁好恕|洪鎬|毛文龍(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賊兵을 당해낼 사람이 없음/ 安州|兩西, 尹暄|丁好恕(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晝講에 金 등이 입시하여 孟子 盡心上篇을 講하고, 虜兵의 위협, 守令의 差遣 등에 대해 논함/ 鄭經世|金尙|金|太祖|孟子|金|孟子|金大德|金|孟子|미결|金|帝堯|帝舜|孟子|미결|孟子|미결|金尙|金|太公|伯夷|金尙|孟子|金光炫|金|미결|미결|孟子|金|孟子|金|金|金|金|金|崔|金|崔|金|丁好恕|安景深|李希建...(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義禁府에서 大臣과 의논한 公事를 判付한 것 안에서 罪人 康文翼 등을 放送함/ 黃中允|金弘遠|洪迎|金慶元|趙有恒|姜信立|任器之|李莘|尹熙善|申弘馹|魚大振|羅宜素|朴春陽|梁貴生|朴悌儉|鄭尙古|郭希震|朴宗一|鄭國彬|安應雲|鄭忠直|丁好恕|康輔臣|金搢|朴惟健|金尙寯|朴東亮|金時讓|鄭忠信(daum 2011)
정호서 [專門資料] : [한국학자료] 吳允謙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吳允謙|李光|鄭經世|金德|吳允諧|尹衡彦|閔應恢|孟世衡|辛啓榮|李安眞|睦性善|丁好恕|李榮仁(daum 2011)
정호서 : 황해도 병마사(黃海道兵馬使)를 지낸 정호서(丁好恕) 선조께서는 자가 사추(士推)이며 호는 서봉(西峰)인데, 선조 5년(1572) 9월 4일(亥時) 대사헌공 정윤복(丁胤福)과 정경부인 청주한씨 사이에서 다섯째아들로 태어났다. 9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이듬해인 10세 때에 월헌공 대종가(大宗家)인 우봉공(牛峰公) 윤지(胤祉)의 계자가 되어 생가를 떠났다. 병사공은 15세 때인 선조 19년(1586, 丙戌) 호남 땅에서 병이 들어 3년 동안 병들어 누웠다가 17세(戊子) 때에 수레에 병든 몸을 싣고 서울 본가로 돌아와 형제들의 극진한 간병으로 병이 나아 다시 공부에 힘쓰다가 21세 때인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을 만나 가을에는 생부인 대사헌공을 여의고 형제들은 뿔뿔이 흩어지는 집안의 환란을 겪었다. 공은 집안의 환란을 겪으면서도 꾸준히 공부를 계속하여 30세 때인 선조 34년(1601) 김지선(金止善) 방하에 생원 3등 제18인으로 합격하였는데, 이 해에는 셋째형인 사성공 호관(好寬)과 넷째형인 동원공 호선(好善)도 각각 생원과 진사시에 합격하고, 동원공은 대과인 문과에까지 급제하는 집안의 큰 경사가 있었다. 또 셋째형 사성공은 이듬해에 별시문과에 급제하게 된다. 그리고 둘째형인 정랑공 호공(好恭)이 선조 38년(1605) 증광문과에 급제한 데 이어 병사공도 광해군 즉위년인 1608년 별시문과에 장원(狀元)으로 급제하기에 이른다. 이리하여 4형제가 모두 관직에 나가게 된 것이다.
병사공이 1608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가면서 형제간에 우애롭게 지내던 생활 모습을 동원공 제문에서 회고한 글을 여기에 옮겨보겠다. 우리 형제 네 명은 북악산 아래에 함께 집을 마련하였는데, 두 형은 동쪽에 살고 두 아우는 서쪽에서 살았다. 동원 형님(好善)은 조그만 정원이 안채 동쪽에 있었기에 동원(東園)이라고 호를 붙였고, 둘째형님(好恭)께서는 "내 집은 '동원' 북쪽에 있고 산기슭에 의지하여 집을 지었으니 마땅히 북록(北麓)이라 하겠다." 하였고, 나(好恕)의 집은 서쪽에 있고 봉우리가 집 뒤에 있기에 스스로 서봉(西峰)이라 하였다. 막내 사순(士順) 호제(好悌)는 내 집 남쪽 담장 아래에 집을 마련하고 남애(南崖)라는 당호를 붙였다. 나는 동쪽 담을 헐어 조그만 길을 내고 서로 내왕하기에 편하도록 했다. 문득 따뜻한 동풍이 불어오고 꽃과 버들이 봄을 자랑하거나 녹음이 우거져 그림자를 드리우면 북쪽 창으로 시원한 바람을 맞거나, 가을 바람에 나뭇잎이 붉게 물들고, 겨울날 흰눈이 뒤덮이거나 추위와 더위를 무릅쓰고 우리 형제들이 서로 오가면서 술동이를 열고 자리에 가득차게 화락을 즐기면서 때로는 술에 취해 자리에 함께 쓰러져 지냈다. 관아에 나가거나 조정에 달려가는 외에는 다른 사람과 사귐을 찾거나 다른 사람의 모임에 참가할 겨를이 없이 세상의 즐거움이 여기서 벗어남이 없으리라 여겼다. 다만 형님 한 분이 남쪽 성곽에 사시기에 왕래하는 데 제약이 있어 꽃이 피는 새벽이나 달밝은 밤이 되면 오히려 형제 하나가 빠졌다는 탄식이 새어 나왔다. 이와 같이 대사헌공의 다섯 아들이 우애롭게 지내며 벼슬살이를 하던 초기의 모습을 병사공이 1633년에 쓴 동원공 제문에 기록해 놓은 것이다.
병사공께서는 광해군 즉위년(1608)에 문과에 장원하여 관직에 출사한 뒤 광해군 3년(1611)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광해군 5년(1613) 경기도 도사(都事)를 지냈다. 광해군 10년(1618)에는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의 종사관으로 명나라의 원군으로 후금(後金) 토벌에 출정하였다가 패전하고 돌아온 뒤 광해군 12년(1620)에는 죽산현(竹山縣)을 맡아 3년 동안 선정을 베풀었는데 아직도 그 선정비(善政碑)가 남아 있다. 인조반정이 일어나던 해에(1622) 정주목사(定州牧使)로 나갔는데 그 2년 뒤인 인조 2년(1624)에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다. 공은 정주목사로서 이괄의 사자를 죽이고 난리를 진정시키는 데 앞장섰다. 이 때 공의 형제 네 분이 이괄과 관계가 있다는 허위 고발이 있어 투옥되었다가 병사공 때문에 석방되었던 것이다. {인조실록}에는 공이 이괄의 난에 닥쳐서 국가에 충성함이 옛사람에 부끄럽지 않다는 사관(史官)의 기록이 남아 있고, 공은 이괄의 난에 충성한 공으로 품계가 오르고 병조참의를 거쳐 황해도 병마사에 임명되었다. 공은 인조 5년(1627) 황해도 병마사로 있었는데 이 때 정묘호란이 일어났다. 공은 민병(民兵)까지 이끌고 싸웠으나 패전의 책임을 지게 되었다. 조정에서는 공을 효수하라는 논의까지 있었으나 인조 임금은 이괄의 난 때의 공의 공적을 생각하고 함경도 온성(穩城)으로 유배시키는 데 그쳤다. 공은 인조 7년(1629) 다시 경상도 연일(興海)로 유배지가 옮겨졌다. 흥해에서 귀양살이를 하던 중 1633년에 바로 위의 형님인 동원공의 부음을 받고 다음과 같은 애절한 제문을 썼다. 관서 땅에 6년 동안 머무르며 풍토병에 걸렸고, 죄를 지어 귀양을 온 이래로 남북으로 옮겨 다니면서 변방의 추위와 산천의 나쁜 기운이 번갈아 나를 괴롭혀 가래가 끓고 기침이 나는 등 습비가 고질이 되었다. 그래서 오래 전부터 내 앞날도 아주 급박하고 귀신과 이웃이 되었음을 알고 있었기에 마음속으로 빌기를, 오직 형님을 다시 만나 같은 날에 세상을 떠 함께 슬픈 일을 당하지 말기를 바랐건만 소원은 마음을 따라 주지 않고 형님만 벌써 가버리셨구나. 흰머리는 고통에 시달리고 심장은 이미 썩었으니 멀지 않아 황천에서 서로를 따르면서 영원히 슬퍼하지 않을 것을 기약할 수 있으리라!
병사공은 7년여의 유배 생활을 한 뒤 유배가 풀리고 또 신원(伸寃)되어 만년에 동래부사(東萊府使)와 인동부사(仁同府使)를 역임하고 인조 25년(1647) 8월 20일에 돌아가셨으니 향년이 76세였다. 인조 임금께서는 공의 공로와 재목을 아껴 슬퍼하시며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이조판서를 증직으로 내렸다. 공은 후사(後嗣)가 없어 동원공의 둘째아들 언원(彦瑗)을 계자로 맞았다. 공의 묘소는 처음에 경기도 능곡 토당동 선영 아래 모셨으나 1988년 용인군 양지면 제일리에 선영과 함께 옮겨 모셨다. 공이 가신 지 이제 355년이 지났으나 공에 관한 기록이 남은 것이 거의 없어 그 사적이 드문 때에 경기도 안성의 비석공원에서 '부사 정호서 선정비(府使丁好恕善政碑)'를 찾았다. 이 선정비는 공이 1620년 4월 15일 죽산부사로 부임하여 1622년 11월 10일까지 선정을 베풀어 1624년 1월에 죽산 백성들이 세운 것이다. 백성들에 의해 선정을 베푼 수령으로 평가된 것이다. 공의 파란이 많았던 일생의 일부를 기록하자니 선조에 대한 감회가 새롭다. 2002년 10월 3일 족후손 갑진 삼가 정리함./ 참고문헌「동원공제문」, 『국조방목』, 『압해정씨가승』, 『죽산현지』(daum 2011)
---
@예천방문 825
예천천문과학문화센터(醴泉天文宇宙센터, 2月 週末 特別科學 體驗) [記事] : (재)예천천문우주센터(이사장 박홍서)는 기존의 천체관측 프로그램 및 우주인 훈련체험인 우주환경체험 외에도 주 5일 수업에 따른 창의적 체험학습을 필요로 하는 학생과 가족들을 위해 주말특별과학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로 했다. 주말 특별과학체험은 매주 주말에 다양한 체험들도 진행된다. 별자리 비누 만들기, 행성 여행 가이드 맵, 항공우주지수를 알려주는 AQ Test, 알콜로켓 제작 및 발사, 천체망원경 실습 등으로 구성되고, 매주 2가지의 특별과학체험을 실시하게 된다. 별자리비누만들기는 생일 별자리모양으로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작하는 것으로 어린이들에게 인기있는 프로그램이며, 행성여행가이드맵은 각 행성으로 우주여행을 떠날 경우 필요한 준비물부터 관광지, 음식물, 이동수단 등 행성의 특성에 맞도록 자기만의 가이드맵을 제작하는 것으로 창의성 개발에 도움이 프로그램이다. AQ Test는 학생들 또는 가족이 1조가 되어 항공우주과학에 대한 퀴즈를 맞추어 우주과학자로서의 능력를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이며, 알콜로켓 제작은 자기만의 로켓을 창의적으로 제작하고 특별히 제작된 발사대를 이용하여 발사하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들과 학생들이 안전하고 즐겁게 체험해 볼 수 있는 체험이다. 천체망원경 체험은 망원경 사용법을 연습하고 직접 달이나 행성, 성단을 찾아 성취감과 호기심을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체험프로그램에 따라 기념품 또는 경품이 준비되어 있으며 세부체험시간 등 자세한 내용은 행사전 2∼3일전에 홈페이지(www.portsky.net)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醴泉인터넷放送 2012-02-10 오전 11:20:00)
본 페이지의 관리부서는 홍보소통과전산정보팀(☎ 054-650-6073)입니다.
최종수정일2019.02.12